확대 l 축소

자살 사망자 94%, 극단적 선택 전 '경고 신호' 보낸다

자살 사망자의 94.0%는 사망 전 죽음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하거나 주변 정리를 하는 등 경고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극단적 선택을 한 심리부검 대상자 중 42.8%는 자살 사건으로 가족이나 지인을 잃은 유족인 것으로 드러나, 유족에 대한 사후 관리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보건복지부는 19일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면담(2015~2021)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19세 이상 성인 801명에 대해 심리부검 면담을 한 결과의 7개년치 누적 자료다.

성별 비중을 따지면 남성은 542명(67.7%), 여성 259명(32.3%)이었다. 생애주기별로는 중년기(35~49세)가 33.7%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청년기도 30.8%로 그 뒤를 이었다.

경제 상태의 경우 소득이 전혀 없거나(18.7%) 월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22.1%)인 저소득층 비율이 전체 심리부검 대상자의 40.8%(327명)였고, 약 50%가 부채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753명(94.0%)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죽음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주변 정리, 수면 상태 변화 등 언어·행동·정서적 변화를 보였다.

심리부검 대상자들은 극단적인 시도를 하기 전에 1명 당 평균 3.1개의 사건을 동시에 경험하는 것으로도 분석됐다. 

주로 가족관계(60.4%), 경제문제(59.8%), 직업 스트레스(59.2%) 등을 동시에 겪으며 극도의 스트레스 상태에 이른 것이다.

또 심리부검 대상의 35.8%(287명)가 생전에 한 번 이상 극단적인 시도를 한 경험이 있었고 10.2%는 자해 행동 경험이 있었다. 또 가족 또는 친구·지인을 자살로 잃은 유족인 경우도 42.8%(343명)에 이르렀다.

실제로 심리부검 대상자들의 유족도 자살위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 952명 중 95.2%(906명)는 사별 이후 일상 생활 변화를 경험했다.

특히 83.3%(793명)는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별 기간이 3개월 이내로 짧을수록 심각한 우울을 호소하는 비율이 높았고, 유족이 부모(28.0%) 및 배우자(25.6%)인 경우 심각한 우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59.5%(566명)의 유족이 면담 당시 자신도 극단적 선택을 할 생각이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심리부검 대상 자살사망자 중 상당수(801명 중 710명, 88.6%)가 정신과 질환을 진단받았거나, 질환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전(全) 연령층에서 우울장애가 82.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물질 관련 및 중독장애(32.8%), 불안장애(22.4%) 등이 뒤를 이었다. 정신건강 문제로 치료나 상담을 받은 자살사망자는 심리부검 대상자의 52.8%(423명)로 여성(70.7%)이 남성(44.3%)에 비해 높았다.

2020년 이후 심리부검 대상인 132건 중 코로나19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 사례는 29건이었다. 29명 모두 코로나19 이전부터 직업·경제, 대인관계, 정신건강 문제 등으로 심리적으로 취약한 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19명(65.5%)은 사망 전 직업 스트레스를, 23명(79.3%)는 경제 스트레스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고립, 경제적 손실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는 설명이다.

정은영 정신건강정책관은 ”지난 7년간 심리부검을 통해 파악한 자살 경로상의 자살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을 향후 자살 예방 전략 수립의 근거로 활용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향후 코로나19 등의 급격한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에 따른 자살 원인분석을 위해 심리부검을 확대·실시하고, 범부처 차원의 제2차 자살예방기본계획을 12월 중 수립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