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거리두기 해제 후 '극단 선택 생각' 비율 여전히 높아

복지부,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발표
지난 4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이후 우울위험군은 줄어들었지만 극단적 선택을 생각하는 비율은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의 우울위험군과 자살생각률은 각 세대 중 가장 높았다.

보건복지부는 2022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처음 실시한 조사다. 성인 206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우울위험군은 5배, 자살생각률은 3배 수준으로 여전히 높았다.

올 6월 기준 우울위험군은 16.9%로 코로나19 실태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았다. 하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3.2%)과 비교하면 5배가 넘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연령별로 30대가 4.2%로 가장 높았고, 40대(17.0%),50대(16.0%),20대(14.3%),60대(13.0%)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18.6%로 남성(15.3%)보다 더 높았다.

소득이 감소한 경우의 우울위험군이 22.1%로 소득이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집단(11.5%)에 비해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우울위험군이 23.3%로 2인 이상 가구(15.6%)에 비해 높았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미혼, 사별·이혼 등)가 20.6%로 기혼(14.3%)에 비해 높았다.

자살생각률은 6월 기준 12.7%로 3월(11.5%)에 비해 증가했다. 코로나19 초기(2020년 3월 9.7%)에 비해 여전히 높았으며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4.6%와 비교해도 3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30대가 18.8%로 가장 높았으며 20대(14.8%), 40대(13.1%),50대(9.8%),60대(7.3%)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자살생각률은 여성이 높은 데 비해 동 조사에서는 꾸준히 남성의 자살생각률(13.5%)이 여성(11.9%)보다 더 높았다.

소득이 감소한 경우 자살생각률이 16.1%로 소득이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집단(9.2%)에 비해 약 7% 높았다. 

1인 가구의 자살생각률이 18.2%로 2인 이상 가구(11.6%)에 비해 1.5배 높았다. 배우자가 없는 경우(미혼, 사별·이혼 등)가 16.9%로 기혼(9.8%)에 비해 높았다.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불안은 각각 1.2점과 3.6점으로 지난 2020년 이후 조사에서 가장 낮았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낙인도 2022년 6월 조사결과 6.2점(총 15점)으로 지난해 3월(8.1점)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연구진은 “두려움과 불안은 시간이 지나면서 적절히 감소하고 있지만 우울 감소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국민들의 우울감 감소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며 “코로나19 기간 누적된 소득 감소, 고립 등 현실적인 문제로 정신건강이 악화되거나 자살이 증가할 우려에 대비해 경제적·사회적 취약한 계층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응답자들은 필요한 서비스로 경제적 지원(2.05점)을 가장 많이 꼽았다. 뒤이어 감염병 관련 정보(1.94점), 개인 위생물품(1.89점)이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