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국내 식품산업 사상 첫 100조 돌파…GDP대비 5% 차지

지난 한 해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최초로 100조원을 돌파했다. 전년 93조 1580억원 대비 12.7% 증가한 규모다.

특히 지난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총생산(GDP) 대비 4.9%,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대비 19.1%를 차지했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은 2022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최근 5년(2017년~2021년) 연평균 증가율 5.5%과 비교해 약 7.2%p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식품산업은 ▲식품제조가공업(주류·조사처리 포함) ▲식품첨가물제조업 ▲용기·포장류제조업, ▲축산물가공업(유가공·알가공·식육가공) ▲식육포장처리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 모두를 포함한다.

지난해 식품산업 전체 생산실적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보다 7.2%p 더 높았던 주된 원인은 식품 관련 모든 업종이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한 가운데 식품산업 생산실적의 큰 부분(97.4%)을 차지하는 식품 등, 축산물의 생산실적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에 비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식품 등 생산실적은 67조 7062억 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64.5%를 차지했으며, 전년 59조 7871억원 대비 13.2% 증가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 5.2%보다 약 8%p 더 높았다. 축산물 생산실적은 34조 4998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32.9%를 차지했으며, 전년 30조 6589억원 대비 12.5% 상승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 5.5%보다 약 7%p 더 증가했다.

지난해 음식료품 생산자 물가지수도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 1.6%보다 약 7.3%p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생산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가정간편식 생산실적은 4조 4616억 원으로 전년 3조 9097억원 대비 14.1% 증가했다. 가정간편식 중 간편조리세트(밀키트)는 전년 538억원 대비 228.3%(2090억원), 즉석조리식품(가공밥· 국·탕 등)은 전년(2조 1084억원) 대비 8%, 즉석섭취식품(도시락·김밥 등)은 전년(1조 5341억원) 대비 12.4%, 신선편의식품(샐러드·절단과일 등)은 전년(2134억원) 대비 17.5% 증가했다.

특히 최근 3년간 간편조리세트 생산실적이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됐음에도 외식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 간단한 조리방법, 신선한 재료, 편리한 구매환경(전문 판매점·온라인 새벽 배송) 등 다양한 이점을 가진 밀키트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 최근 3년(2020년~2022년) 연평균 성장률이 18.7%로 꾸준한 성장세에 있는 탄산음료류의 지난해 생산실적은 1조 9394억 원으로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따라 설탕대체감미료 첨가(제로 슈거)음료의 인기 등에 힘입어 전년(1조 6856억 원) 대비 15.1% 증가했다.

식물성유지류의 지난해 생산실적은 2조 1377억 원으로 전년 1조 6056억원 대비 33.1%, 밀가루류는 1조 5264억 원으로 전년 9954억원 대비 53.3% 증가했다. 생산량 증가율에 비해 생산액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기후변화 등 최근 국제정세 변화로 식품 원료 수급상황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원료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인 식물성유지류(팜유·대두유 등)와 밀가루류의 생산단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축산물 생산실적은 34조 4998억 원으로 전년 30조 6589억원에 비해 12.5% 증가했으며, 국내 식품 생산에서 식육제품이 최근 5년간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최근 5년간 식품별 생산실적 상위품목(1위~3위)은 돼지고기 포장육, 쇠고기 포장육, 양념육류 순이었다, 지난해 돼지고기 포장육의 생산실적은 8조 6848억원(축산물 전체 25.2%), 쇠고기 포장육은 7조 1547억 원(축산물 전체 20.7%), 양념육류는 5조 1066억 원(축산물 전체 14.8%)으로 3개 품목이 축산물 전체 생산실적의 60.7%를 차지했다.

축산물 생산실적의 지속적인 증가는 식습관의 서구화로 지난해 기준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58kg)이 쌀 소비량(56kg)을 넘어서는 등 축산물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어난 데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실적은 2조 8050억 원으로 전년 2조 7120억원 대비 3.4% 증가했으나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2017년~2021년) 보다는 12.9%p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으로 증가하던 성장세가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둔화된 것이 주된 원인으로 추정된다.

건강기능식품 중 생산실적이 가장 많은 제품은 전년과 같이 홍삼제품(점유율 21%·5896억 원)으로 나타났다. 홍삼제품의 생산실적은 최근 5년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홍삼에 이어 생산실적이 많은 제품은 비타민 및 무기질(3817억 원)제품으로 전년(2865억 원) 대비 33.2% 크게 증가했다.

식약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은 이에 대해 "체내 면역력 증진, 항산화 작용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C, 아연, 비타민E 등 비타민 및 무기질제품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