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최근 중환자실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시범사업 위탁 사업자를 공모하고, 대한중환자의학회를 위탁사업자로 선정했다.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 송영조 과장은 28일 복지부전문기자협의회를 통해 "중환자실의 단순 인력이나 장비 현황뿐 아니라 환자 데이터 등을 통해 세부 역량을 파악하고 체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복지부 응급의료과 송영조 과장은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중환자실이 모두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며 "이번 시범사업은 어느 정도의 중환자실을 구축하고 있는지, 어떤 운영체계를 갖고 있는지 등 정보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단순한 장비와 인력 수준 등 구조적인 부분을 넘어 실제 병원이 수용하고 있는 중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고 진료 역량이 어느정도인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는 단순 인력이나 장비, 시설로는 파악이 불가능하다. 실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해야 알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응급실은 응급의료법에 따라 정보 시스템이 구축돼 있으며,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중환자실 관리는 이런 법적 근거가 없어 병원마다 운영체계 등이 제각각이다.
송 과장은 "복지부도 전국 중환자실 정보나 중환자실 통합관리 시스템이 없다"며 "코나19 당시 각 병원에 중환자실이 얼마나 찼는지, 어떤 환자를 받을 수 있는지 개별적으로 확인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장기적으로 전국의 중환자실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게 복지부의 판단이다.
조영대 사무관은 "시범사업을 통해 각 병원에 현황 조사인력들이 직접 방문해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수집한 이후 어떤 식으로 체계화할 것인지 논의하면서 시스템 구축까지 고려하고 있다"며 "일단 올해 상반기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할 것"이라고 전했다.
응급의료과는 이번 시범사업을 위해 올해 13억원의 예산을 편성한 바 있다. 13억원 중 3억원은 ISP에 투입되고, 나머지 10억원은 30여개 병원에 직접 방문해 정보를 수집하는 인력의 인건비로 활용된다.
정보 수집 인력은 중환자의학회가 숙련된 간호사들을 모집해 각 병원에 투입할 예정이다.
송 과장은 "의학회가 파견한 인력이 병원에 직접 나가 소통하며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어떻게 체계화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해 장기적으로는 시스템 구축까지 생각하고 있다"며 "올해 상반기 정보 수집을 시작하지만 올해도 1년이 남지 않았기 때문에 기간이 충분할지 모르겠다. 상황을 지켜보며 연장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숙련된 간호사 등이 병원에 직접 나가 현황을 파악하고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할 계획인데, 한 번 방문하고 끝이 아니라 여러 번 주기적으로 병원을 돌아다녀야 한다"며 "이들은 중환자의학회를 통해 병원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30개 정도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인데 사전 의향 조사 정도를 진행한 것이지 아직 참여기관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며 "이제 학회와 공식적인 계약이 끝난 상황으로 학회가 사업을 추진하면서 각 병원들과 계약을 체결하면서 진행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의료개혁 차원에서 추진 중인 필수·응급의료 강화 차원에서 시범사업을 이해해달라고 당부했다.
송영조 과장은 "적극적으로 시범사업에 참여하려는 병원도 있고 꺼리는 병원도 있을 수 있다"며 "크게 보면 정부가 상급종병 구조전환 시범사업이나 중환자실 수가 개선 등을 통해 중환자실에 대한 보상을 꾸준히 강화하고 있는데 지원을 늘릴 테니 정보를 내놓으라는 대가성 개념은 아니다. 더욱 적절한 보상을 위한 현황 파악 개념으로 봐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범사업을 통해 정보를 체계화하면 향후 중환자실 관리 체계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기대한다"며 "학회와 주기적으로 의논하면서 진행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