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요양병원에 코로나 치료제 최우선 처방

복지부, 병상 확충 및 병상 운영 효율화 통해 확진자 증가 대응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속출하면서 정부가 요양병원·시설에 대해 코로나19 치료제를 최우선으로 처방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65세 이상 고위험군이 머무는 요양시설의 경우 경증 환자라도 즉시 병원으로 이송하는 등 대응도 강화하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권덕철 장관)는 30일 이 같은 내용의 요양병원·시설 코로나 사망자 현황 및 관리 강화방안을 보건복지부로부터 보고받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안은 고령의 기저질환자가 밀집한 요양병원·시설 내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잇따르고 있는 데 대한 조치로 마련됐다.


이번 달 기준 코로나19 사망자 가운데 요양병원·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32.7%로 확인됐다. 사망자 3명 중 1명은 요양병원·시설에서 나오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응해 우선 정부는 요양병원·시설에 대한 치료제 처방을 강화한다.


그 일환으로 병원·시설 내 환자를 대상으로 화이자사의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를 최우선으로 처방한다. 병용 금기 의약품 등으로 팍스로비드 처방이 어려운 경우 머크앤드컴퍼니(MSD)의 먹는 치료제 '라게브리오'를 보완 활용한다.


요양병원의 경우 현장 의견을 수렴해 팍스로비드 공급체계를 점검하는 한편, 먹는 치료제 외 주사치료제인 '렘데시비르'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요양시설의 경우 65세 이상 고위험군 환자에 대해 경증이라도 병원으로 즉시 이송하고, 이 밖의 코호트 시설 확진자는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의 처방 확대 및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중증화 예방을 위해 노력한다.


정부는 이들 시설 내에서 코로나19에 확진된 이들이 위·중증으로 증상이 악화하지 않도록 중증환자에 대해서도 병상배정 '핫라인'을 통해 중증전담 병상으로 전원하는 등 의료지원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요양보호사와 간병인, 간호사 등 시설 종사자와 의료인력의 확진이 늘며 생긴 돌봄 공백에 대비해서는 보조 인력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오는 1일부터 요양보호사 양성 과정의 현장실습을 재개해 돌봄 보조 인력으로 활용하는 한편, 중앙 차원의 인력 지원도 강화한다.


정부는 요양시설에서 확진된 직접 돌봄 종사자의 격리기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이날부터 추진한다.


확진자가 적절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요양병원 기능연속성계획(BCP)를 개정해 3차 접종 완료 후 무증상인 종사자가 본인이 동의한 경우 격리된 확진 입소자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날 공개된 이 같은 방안은 요양병원 내에서 확진자 발생 시 환자에 대해서만 이동을 막는 코호트 조치로 인해 확진되지 않은 환자들의 경우 코로나19 외 필요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반영한 조치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요양환자의 경우 대개 병원에서 코호트 격리가 진행되고, 확진되지 않은 환자들과 공동 관리하고 있어 의료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시설 부분에 있어 협력병원에서 초동 대처를 한다 해도 한계가 있어 논의를 거쳐 대응을 차등화하는 대안을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요양 돌봄인이 부족해 돌봄 인력이 조기 투입될 수 있도록 돌봄 자격을 주는 날짜를 당겨 현장에 투입하거나, 자원 봉사자들이 돌봄 영역에 참여하는 등의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또 증상이 악화할 때 중증 병상이나 적극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병상으로 후송 문제 등이 진행돼야 하기 때문에 수도권 병상배정반을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정해 의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배정방식도 강화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30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전날보다 7만7000명 이상 늘어난 42만4641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432명으로, 역대 최다였던 지난 24일(469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 1월(1월2일 0시 기준)부터 이날까지 1만230명이 코로나19로 사망하며, 올해에만 1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