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제2형 당뇨병 환자, 규칙적 운동시 심방세동 발병 위험 떨어져

울대병원 최의근 교수팀, 지속적 높은 활동량 환자군 발생 위험도 가장 낮아
 제2형 당뇨병 환자는 꾸준히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심방세동 발병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팀(박찬순 전임의)은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2009년부터 2012년 사이에 심방세동 병력이 없는 제2형 당뇨환자 181만 5,330명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변화와 심방세동 발병 위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코호트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최 교수팀은 당뇨환자 181만 5,330명의 활동량 변화를 2년 간격으로 평가해 환자를 ▲지속적 비운동자(비활동→비활동) ▲운동 중도 탈락자(활동→비활동) ▲새로운 운동자(비활동→활동) ▲운동 유지자(활동→활동)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후 약 5.6년간 활동량 변화에 따른 심방세동의 발생 위험도를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지속적 비운동자 그룹에서 심방세동 발생 위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새로운 운동자 그룹은 지속적 비운동자 그룹에 비해 심방세동 위험도가 약 5% 가량 유의하게 낮았다.

 

이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은 신체 활동량을 보인 운동 유지자 그룹은 지속적 비운동자 그룹에 비해 약 9% 가량 낮은 심방세동 위험도를 보였다.

 

또한 활동량을 운동강도로 표현했을 때 활동량이 낮았던 사람이 1500MET-min/주 이상 활동량이 증가하는 경우와 활동량이 높았던 사람이 1000MET-min/주 이상의 활동량을 유지하는 경우에 심방세동 위험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MET-min은 신체 활동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소모량의 지표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환자에서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심방세동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인자라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이를 기반으로 심방세동 위험도를 줄이기 위한 적정 신체운동 활동 범위를 권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최 교수팀은 설명했다.

 

▲ 새로운 운동자(왼쪽) 및 운동 유지자(오른쪽) 그룹의 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심방세동 위험도 비교.

 

최의근 교수는 “생활습관 교정이 심방세동의 위험도를 효과적으로 낮춘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환자들에게 적극적인 생활습관 교정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 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당뇨 관리(Diabetes Care; IF 17.152)’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심방세동은 심방에서 발생하는 빠른 맥의 형태로 불규칙한 맥박을 일으키는 부정맥 질환으로 주요 증상은 두근거림, 흉부 불편감과 심한 경우 어지러움과 호흡곤란을 동반한다.

 

심방세동은 뇌졸중과 치매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고령화와 함께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에 당뇨병 환자들에서의 심방세동 발생이 흡연, 음주, 낮은 신체활동 등의 생활습관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으나 신체활동의 증가 혹은 감소가 심방세동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된 바는 없었다.

  • 글쓴날 : [2023-03-01 12:41:15.0]

    Copyrights ⓒ 데일리메디칼 & http://dailymedical.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